질병진단 이미지(안저) 소개
본 데이터는 오프라인 안심존 데이터입니다.
데이터셋명 | 질병진단 이미지(안저) | |||
---|---|---|---|---|
데이터 분야 | 헬스케어 | 데이터 유형 | 이미지 | |
구축기관 | 건양대학교병원 | 데이터 관련 문의처 | 담당자명 | 신현아(건양대학교병원) |
가공기관 | 전화번호 | 042-600-8679 | ||
검수기관 | 이메일 | hah1286@kyuh.ac.kr | ||
구축 데이터량 | 0.3만 | 구축년도 | 2018년, 2019년 | |
버전 | 1.0 | 최종수정일자 | 2019.12.31 | |
소개 | 황반변성, 당뇨 망막병증 등 망막 질환의 광각 안저 영상과 녹내장 진단을 위한 일반 안저 영상의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 이미지 데이터 제공 | |||
주요 키워드 | 의료기기 개발, 초음파 영상, 황반변성 | |||
저작권 및 이용정책 | 본 데이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지원하는 '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'으로 구축된 데이터입니다. [데이터 이용정책 상세보기] | |||
데이터설명서 | 자료보기 | 구축활용가이드 | 자료보기 | |
샘플데이터 | 교육활용동영상 | |||
저작도구 | 다운로드 | AI모델 |
데이터 변경이력
버전 | 일자 | 변경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---|
1.0 | 2019.12.31 | 데이터 최초 개방 |
개요
- 황반변성, 당뇨망막병증 등 망막질환의 광각 안저영상과 녹내장 진단을 위한 일반 안저영상의 학습 데이터베이스 구축 및 안과질환 자동판독 딥러닝 모델 프로토타이핑 개발
필요성
- 나이관련 황반변성은 65세 이상 노인들의 실명 원인 1위임. 당뇨망막병증은 당뇨 만성합병증 중의 하나로 25세에서 74세 실명의 주요 원인임. 녹내장은 시력 상실 등 비가역적 손상을 초래할 수 있으며, 말기 단계까지 뚜렷한 자각 증상이 없음. 이와 같은 안과질환은 조기진단 및 치료가 중요함
※ 당뇨망막병증의 유병률은 5년 이하에서 28.8%, 15년 이상에서 77.8%이며, 당뇨환자 10명 중 1명이 증식성 당뇨망막병증이나 당뇨병성 황반부종으로 실명의 위험을 가지고 있음. 녹내장 유병률은 100명당 2-4명으로 2-4%임. - 조기 진단은 의료인의 영상 판독에 대한 어려움, 오류, 시간 부족 등으로 현실적으로 어려움이 많으며, 이는 안과질환의 의료비용과 실명으로 인한 사회적 손실비용의 증가, 의료서비스의 질 저하로 이어질 수 있음.
- 안저영상과 같은 의료데이터를 이용하여 인공지능 학습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고 안과질환 자동판독 딥러닝 모델을 개발하여 이를 탑재한 안저촬영 의료기기를 만들어 해결이 가능함.
'18년 구축내용
- 망막질환 광각 안저영상 데이터베이스(총2,043장) : 나이관련황반변성(473장) / 당뇨망막병증(825장) / 망막정맥폐쇄(250장) / 정상(495장)
- 녹내장 판독용 일반 안저영상 데이터베이스(총1,500장) : 녹내장(750장) / 정상(750장)

'19년 구축량
- 구축내용
- 총 4,500장의 이미지 파일(jpg)과 메타데이터(.xlsx) 등의 의료 지식베이스
· 망막촬영(일반안저영상): 정상소견 1,500장, 녹내장소견 1,000장
· 망막촬영(광각안저영상): 정상소견 600장, 당뇨성망막병증 700장, 황반변성 500장, 정맥폐쇄 200장
- 안저질환 데이터 (총 4,500장)
메타데이터 (개) | 영상 (장) | |
---|---|---|
일반_정상 | 2,179 | 2,179 |
일반_녹내장 | 1,019 | 1,019 |
광각_정상 | 613 | 613 |
광각_당뇨성망막병증 | 502 | 502 |
광각_황반변성 | 853 | 853 |
광각_망막정맥폐쇄 | 234 | 234 |
합 계 | 5,400 | 5,400 |
- 안저촬영영상
- 데이터 구조
테이블명 | 컬럼명 | 데이터타입 | 비고 |
---|---|---|---|
Metadata | 일련번호 | char | 질환 별 일련번호 |
이미지파일명 | char | 이미지파일명 | |
일반/광각 | char | 일반/광각 영상 구분 | |
정상/질환코드 | char | 정상과 질환 구분 | |
레이저치료 | char | DMR의 경우 레이저 치료 유무 | |
좌/우 | char | 시신경유두 방향 | |
촬영장비 | char | 찰영장비명 |
활용예시
- (의료기기 개발) 안과질환 진단 딥러닝 모델을 탑재한 안저촬영 의료기기 개발
- 기계 학습 기반 분석, 예측 모델
- X-ray, 초음파 영상 등 주요 질환에 대한 촬영 이미지/영상과 질병진단정보를 결합한 학습용 데이터셋 구축

데이터 구축 담당자
수행기관(주관) : 건양대학교병원
책임자명 | 전화번호 | 대표 이메일 | 담당 업무 |
---|---|---|---|
김종엽 교수 | 042-600-8679 | jykim@kyuh.ac.kr | 안저촬영영상 구축 저작도구 개발 및 라벨링 |
수행기관(참여)
기관명 | 담당업무 | 기관명 | 담당업무 |
---|---|---|---|
㈜에임즈 | 인공지능 모델 개발 | ㈜인피니그루 | 인공지능 모델 개발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