치과 질환 진단 의료 영상 소개
기본탭
본 데이터는 온라인 안심존 데이터입니다.
데이터셋명 | 치과 질환 진단 의료 영상 | |||
---|---|---|---|---|
데이터 분야 | 헬스케어 | 데이터 유형 | 이미지 | |
구축기관 | 삼성생명공익재단 삼성서울병원 | 데이터 관련 문의처 | 담당자명 | 팽준영(삼성생명공익재단 삼성서울병원) |
가공기관 | 삼성생명공익재단 삼성서울병원 | 전화번호 | 02-3410-2413 | |
검수기관 | 삼성생명공익재단 삼성서울병원 | 이메일 | jypaeng@gmail.com | |
구축 데이터량 | 2만 | 구축년도 | 2020년 | |
버전 | 1.0 | 최종수정일자 | 2021.06.30 | |
소개 | 치과 질환 진단 의사결정을 돕는 AI 기술 개발을 위한 치과용 의료영상 데이터 | |||
주요 키워드 | 비식별화, 객체인식, 이미지, 객체 라벨링, 인식객체, 파노라마 영상 데이터, AI 기반 자동 크롭기능 | |||
저작권 및 이용정책 | 본 데이터는 과학기술정보통신부가 주관하고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이 지원하는 '인공지능 학습용 데이터 구축사업'으로 구축된 데이터입니다 [데이터 이용정책 상세보기] | |||
데이터설명서 | 자료보기 | 구축활용가이드 | 자료보기 | |
샘플데이터 | 교육활용동영상 | 영상보기 | ||
저작도구 | 다운로드 | AI모델 | 다운로드 |
데이터 변경이력
버전 | 일자 | 변경내용 | 비고 |
---|---|---|---|
1.0 | 2021.06.30 | 데이터 최초 개방 |
구축 목적
- 영상이미지에서 치아를 인식하고 치아의 번호를 식별하고 치아우식증을 인식하고, 치아보철물, 상실치아, 임플란트, 근관치료를 자동으로 인식하여 치아상태에 대한 정보를 자동으로 추출할 수 있는 치과 파노라마 데이터셋을 구축함
활용 분야
- 치과 파노라마 영상에서 치아관련 질환과 치료를 자동으로 인식하는 객체인식 인공지능의 개발
소개
- 수행기관인 삼성서울병원을 포함한 11개 병원에서 IRB승인하에 치과파노라마 영상을 수집한 후 익명화, 비식별화과정을 거쳐 가공데이터 영상이미지를 웹베이스 어노테이션 툴에 업로드하여 참여기관의 치과의사로 구성된 인력에 의해 치아식별, 치아우식증, 임플란트, 보철치료, 근관치료의 라벨링을 시행함. 라벨링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치아질환인식 인공지능모델을 개발하여 데이터셋은 공개함
구축 내용 및 제공 데이터량
- 치과파노라마영상 20,082건(20,082명)의 데이터 셋을 구축하였음
구분 | 중복 합계 | 치과 검사 항목 | |||||
---|---|---|---|---|---|---|---|
치아 식별 | 상실치아 | 임플란트 | 보철치료 | 근관치료 | 치아우식증 | ||
사례(환자)수 | 20,082명 | 20,082 | 7,413 | 4,613 | 16,955 | 10,999 | 6,010 |
대표도면

필요성
- 파노라마 영상은 치아, 악골, 상악동, 턱관절 등의 다양한 턱뼈의 정보를 한 장의 영상에서 보여주는 것으로 치과의 질환을 파악하는 기본적인 영상으로 사용되고 있음
- 파노라마 영상은 의료 인공지능에서 초기부터 많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으나, 의료영상중 이미지에 치아와 턱뼈등 개인식별 가능한 정보가 많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개발을 원하는 연구자와 기업이 데이터에 접근하기 어려운 상황이었음
- 치과질환중 치은염 및 치주질환, 치아우식증은 국민건강보험심사평가원 자료기준 환자수와 요양급 여비용총액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중요한 다빈도 질환임
- 이에 가장 기본적으로 많이 사용되는 파노라마 영상에서 치아, 보철물, 임플란트, 근관치료, 치아우식증을 인식하여 향후 파노라마 영상진단의 효율성과 정확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데이터셋의 구축이 필요한 상태임.
데이터 구조
- 1.1. 데이터 포맷
- 기본포맷 : PNG + JSON
● 치과 파노라마 가공영상 : PNG
● 객체인식 어노테이션 데이터 : JSON

- 1.1. 어노테이션 포맷
Bounding box, polygon으로 어노테이션된 데이터의 JSON 파일
어노테이션 포맷 표 라벨링 대상 내용 치아번호
(Tooth Number)- 치아가 존재하는 경우 치아를 인식하고
치아의 번호를 부여
-bounding box보철치료
(Prosthesis)- 방사선 불투과상의 보철물이 확인되는
경우 보철물(크라운, 아말감 등)을 표시
- bounding box치아우식증
(Dental Caries)- 치아우식의 범위를 그려서 마킹함
- 3개 이상의 점을 연결한 polygon결손치아
(Missing Teeth)- 결손치아는 결손부우이를 표시하고 결손치
아의 번호를 표시함
- bounding box근관치료
(root canal
treatment)- 근관치료가 있는 부위 표시
- bounding box치과임플란트
(Dental Implant)- 치과임플란트를 인식하도록 함
- bounding box
데이터셋 구축 담당자
수행기관(주관) : 삼성생명공익재단 삼성서울병원
책임자명 | 전화번호 | 대표이메일 | 담당업무 |
---|---|---|---|
팽준영 | 02-3410-2413 | mobilehealth@aumc.ac.kr jypaeng@gmail.com |
· 원문 데이터 확보 및 제공 · 데이터 구축 총괄 |
수행기관(참여)
기관명 | 담당업무 | 기관명 | 담당업무 |
---|---|---|---|
한양대학교 산학협력단 | · 파노라마 영상의 수집, 정제, 가공 |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| · 파노라마 영상의 수집, 정제, 가공 |
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| · 파노라마 영상의 수집, 정제, 가공 | 분당서울대병원 | · 파노라마 영상의 수집, 정제, 가공 |
DDH | · 저작도구의 개발 및 인공지능 학습 모델 구축 | 광운대학교 산학협력단 | · 저작도구 개발 |
익시 | · 시범 서비스의 개발 |